본문 바로가기

WEB

(88)
[Spring] AOP의 개념과 용어 [AOP의 개념] AOP는 Asp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불린다. 관점 지향은 쉽게 말해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적인 관점, 부가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서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 모듈화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모듈화는 어떤 공통된 로직이나 기능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나눗셈을 구현한다고 가정해보자. 핵심 로직은 두 수를 나누는 것이고 주변 로직은 0 을 나누는 것이 아닌지 등을 체크하는 것이다. AOP는 중요한 로직은 아니지만, 0 을 나누는 것과 같은 사전 조건이나 사후 조건 같은 '관심사'를 비즈니스 로직과 분리시켜 모듈화하고, 실행할 때 관심사와 비즈니스 로직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실제 실행은 관심사+비즈니스 로직인 ..
[Eclipse] 이클립스에서 자동 Refresh 설정하기 window -> Preferences -> Workspace 선택후 Refresh using native hooks or polling 체크하기
[Django] 포트번호 바꾸는 방법 장고의 기본 포트번호는 8000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이 포트번호를 바꾸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아나콘다를 설치한 폴더에 들어가준 후 밑의 경로로 들어가줍니다. C:\Anaconda3\Lib\site-packages\django\core\management\commands runserver.py 파일을 열어줍니다. defalut_port를 원하는 포트번호로 바꿔줍니다.
[Spring] MVC의 기본구조 #2 Spring MVC의 기본 구조를 알아보자.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해 본적이 있다면 Servlet/JSP 기술을 활용해서 제작하는 방식을 먼저 배운다. 이러한 부분을 개발자들에게 보여주지 않고 개발자들이 필요한 부분만을 집중해서 개발할 수 잇는 구조로 만든 것이 스프링 MVC이다. [브라우저에서 전송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 Servlet/JSP : HttpServletRequest/HttpServletResponse MVC : Servlet/JSP 위에 하나의 계층을 더함 스프링 MVC를 사용하게 되면 개발자들은 직접적으로 HttpServletRequest/HttpServletResponse 등 과 같이 Servlet/JSP의 API를 사용할 필요성이 줄어든다. 스프링은 중간에 연결 역할을 하기 때문에..
[Spring] MVC의 기본구조 #1 - 프로젝트 로딩 구조 프로젝트 로딩 구조 프로젝트 구동 시 관여하는 XML은 web.xml, root-context.xml, servlet-context.xml 파일이다. web.xml : Tomcat 구동과 관련된 설정 root-context.xml, servlet-context.xml : 스프링 관련 설정 프로젝트의 구동은 web.xml 시작 -> root-context.xml처리 -> DispatcherServlet 관련 설정 동작 순으로 이루어진다. 1. web.xml 시작 web.xml의 일부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root-context.xml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web.xml의 상단 일부이다...
[Tool] 파워목업을 사용해보자 프로젝트를 할 때 카카오 오븐을 자주 사용했는데 너무 별로.. 여서 파워 목업을 깔아보았다! https://www.powermockup.com/download Download | PowerMockup Click the button below to start the download: Download Free Trial Version 4.3.4.0 · 10.6 MB www.powermockup.com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다운로드를 눌러줍니다. 초록색 버튼을 눌러주면됩니다. 다운로드 후 에는 설치를 완료해줍시다! 실행시킨 첫페이지 입니다. 파워포인트와 비슷하게 생겨서 몹시 친근하네요// 하지만 무료버전은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별로 없습니다ㅠㅠ 풀버전 구입하는 곳은 여기로! https://www.powerm..
[Spring] Spring 이란? Spring 이란? JAVA 기술들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레임 워크이다. 스프링을 알기 위해서는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이해해야한다. 프레임워크란, 뼈대나 근간을 이루는 코드들의 묶음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사람마다 능력 차이가 존재한다. 협업을 할 때 능력 차이가 많이 나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프레임워크를 이용한다는 의미는 프로그램의 기본 흐름이나 구조를 정하고 모든 팀원이 이 구조에 자신의 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발한다는 것이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개발에 필요한 구조를 이미 코드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실력이 부족한 개발자라 하더라도 반쯤 완성한 상태에서 필요한 부분을 조랍하는 형태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한 품질이 ..
[Spring]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이라는 것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 없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ex) 음식점이라면 서빙을 담당하는 직원이 갑자기 하루 못나오는 상황이 있어도 장사는 할 수 있지만, 주방장에게 문제가 생겨서 못 나오면 장사를 할 수 없다 => 음식점이 주방장에 의존적 의존성은 이처럼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A 객체가 B 객체 없이 동작이 불가능한 상황을 'A가 B에 의존적이다'라고 표현한다. 주입은 말 그대로 외부에서 밀어 넣는 것을 의미한다. ex) 어떤 음식점의 경우 매일 가게를 열기 전 직접 식재료를 구하기 위해 시장을 가지만, 프랜차이즈 식당들은 본사가 식재료를 공급합니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