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88) 썸네일형 리스트형 [Eclipse] 프로젝트 import 할 때 나타나는 버전 오류 해결법 이클립스에서 자바 프로젝트를 import할때 가끔 버전이 달라서 오류가 날때가 있을때도 있습니다. 그때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마우스 우클릭 > Build Path Libraries를 선택하고 오류가 난 라이브러리를 삭제해줍니다. (삭제할것이 없으면 안해도됨) 그리고 Add Library 눌러줍니다. JRE System Library -> Next -> default JRE 선택후 finish -> Apply and Close [JSP/Servlet] session 구현해보기 / 로그인 유지하는 방법 오늘은 JSP와 Servlet에서 로그인을 유지할때 사용하는 세션객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웹 브라우저에 들어가면 일정시간동안 로그인이 유지되다가 아무 반응도 하지 않으면 로그인이 풀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세션으로 구현합니다. 로그인 유지와 더불어 로그인이 풀리는 시점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웹서버는 여러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request에 담아서 구현하면 그림과 같은 분홍색 영역처럼 잠깐 저장이 됩니다. 잠깐 필요로하는 데이터면 문제가 없겠지만 로그인과 같이 일정시간동안 필요로하는 작업이면 문제가 많을 것 입니다. Client3에서 세션을 사용한 모습입니다. Client3에서 보면 request1에서 session.setAtrribute()를 사용하여 저장했던 데.. [WEB] JSP를 사용하여 동적 웹 사이트 만들어보기/ JSP와 Servlet 비교 오늘은 JSP를 사용하여 동적 웹사이트를 만들어봅시다. Servlet을 사용하여 동적 웹사이트 만들기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WEB] Servlet을 사용하여 동적 웹 사이트 만들어보기 [WEB] Servlet을 사용하여 동적 웹 사이트 만들어보기 servlet으로 동적 웹 사이트를 만들어봅시다. [Servlet 개념 보러가기] [WEB] Servlet VS JSP [WEB] Servlet VS JSP Servlet과 JSP의 각각의 개념을 알아보고 차이점도 알아봅시다. Servlet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 e-you.tistory.com index.html 인덱스 페이지입니다. get 방식 폼 전송 예제 전송 취소 post 방식 폼 전송 예제 전송 index.html을 만들어줍시다. post와 ge.. [WEB] GET과 POST의 차이 GET과 POST는 HTTP Method 종류입니다. HTTP란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요청/응답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때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웹페이지를 보여달라고 하는 것을 요청이라고하고,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받은 것에 대한 대답으로 웹페이지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HTML 문서로 주는 것을 응답이라고 합니다. GET과 POST는 HTTP 요청 Method입니다. 두 방식의 큰 차이점은 URL에 데이터의 노출 여부입니다. URL에 데이터를 노출시키는 것이 GET,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POST입니다. GET 방식 GET 방식을 사용하면 URL에 전송한 데이터가 노출됩니다. ? 뒤에 msg라는 변수에 hello라는 문자열이 담겨서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개 이상.. [WEB] Servlet을 사용하여 동적 웹 사이트 만들어보기 servlet으로 동적 웹 사이트를 만들어봅시다. [Servlet 개념 보러가기] [WEB] Servlet VS JSP [WEB] Servlet VS JSP Servlet과 JSP의 각각의 개념을 알아보고 차이점도 알아봅시다. Servlet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e-you.tistory.com 1. 첫 페이지 index.html 만들기 프로젝트의 WebContent에서 index.html을 만들어줍니다. index.html 인덱스 페이지입니다. hello 요청 hello 요청 bye 요청 bye 요청 현재 시간 보기 현재 시간 보기 오늘의 운세보기 오늘의 운세보기 각각의 첫 링크는 상대경로, 두번째 링크는 절대.. [WEB] Servlet VS JSP Servlet과 JSP의 각각의 개념을 알아보고 차이점도 알아봅시다. Servlet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 Servlet은 Java 코드 안에 HTML 포함 JSP 자바를 이요한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 JSP는 HTML안에 Java코드 포함하고 로 둘러싸인 스크립트 영역이 있다. 실행시에 javax.servlet.http.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은 Java 소스 코드로 변환한 다음 컴파일되어 실행 JSP 파일을 Servlet 클래스로 변환하고 실행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ex. 톰캣) Servlet VS JSP Servlet Java 코드 안에 HTML.. [WEB] bootstrap 사용해보기 오늘은 bootstrap을 사용해보겠습니다. bootstrap 은 미리 만들어진 CSS와 javascript를 지원합니다. bootstrap에는 아래와 같은 웹사이트를 만들때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이 미리 구현되어있습니다. 이제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https://getbootstrap.com/docs/4.4/getting-started/download/ Download Download Bootstrap to get the compiled CSS and JavaScript, source code, or include it with your favorite package managers like npm, RubyGems, and more. getbootstrap.com 위 링크로 들어가 다운로드를 눌러줍니다.. [WEB] eclipse 자동완성기능 emmet 설치하기 이클립스에서 자동완성기능 emmet을 설치해봅시다. intall New Software에 들어가줍니다. http://download.emmet.io/eclipse/updates/ 이 링크를 복사해줍니다. Work with에 붙여넣기 -> 엔터 체크하고 next 기다려주시면됩니다. 라이센스나오면 accept 누르고 next 해줍니다. install anyway -> restart https://nodejs.org/download/release/v12.7.0/ Index of /download/release/v12.7.0/ nodejs.org 혹시 node.js가 깔려있지 않거나 버전이 맞지않으시면 여기서 맞는 버전으로 깔아주시면됩니다.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목록 더보기